본문 바로가기
Fishing Tracker
여수 갑오징어 포인트 7곳 추천 (낚시 초보자분들을 위한 상세 안내)
by ddolai 2025. 9. 27.
반응형

 

오랜 시간 낚시를 즐겨온 경험을 바탕으로, 오늘은 여수권에서 갑오징어 낚시를 하기 좋은 대표적인 7곳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번 글은 특히 낚시를 처음 시작하시는 초보 조사님들께서 쉽게 이해하시도록 포인트별 특징과 실제 공략 방법을 자세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참고하셔서 좋은 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 1. 국동항 수변공원

국동항 수변공원 갑오징어 포인트

 

특징: 여수 시내권에서 접근성이 가장 좋은 포인트 중 하나입니다. 가로등 불빛이 밝아 야간에도 안전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으며, 방파제 발밑과 테트라포드 주변에 갑오징어가 자주 모입니다. 바닥은 비교적 평탄하지만 돌과 구조물이 섞여 있어 은신처 역할을 합니다.

공략 팁: 가로등 불빛이 비치는 구간을 집중적으로 노리시길 권해드립니다. 특히 간조 전후 조류가 약해질 때 입질이 활발히 들어옵니다. 초보자분들도 편하게 접근하실 수 있는 장소라서 첫 출조지로 추천드립니다.

📍 2. 돌산대교 교각 주변

돌산대교 갑오징어 포인트

특징: 교각 구조물 때문에 물살이 복잡하게 흐릅니다. 교각 뒤편에는 소용돌이(와류)가 생기는데, 이곳이 바로 갑오징어가 은신하기 좋은 자리입니다. 수심이 깊은 편이라 다양한 수심층을 탐색해야 합니다.

공략 팁: 교각 근처에 캐스팅 후 바닥을 찍고 천천히 드래깅 해보시길 권합니다. 리프트 후 스테이를 주는 기본 패턴이 특히 효과적이며, 새벽 시간대에 좋은 반응을 보였습니다.

📍 3. 종포 해양공원 / 하멜등대 방파제

하멜등대 포인트

특징: 시내 접근성이 뛰어나 초보자분들이 많이 찾는 곳입니다. 방파제 끝자락과 홈통 주변은 수심이 깊고, 갑오징어가 회유하는 길목이라 입질이 잦습니다. 종포 해양 공원의 중심부는 낚시 금지 구역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공략 팁: 해질녘부터 입질이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방파제 모서리나 홈통 입구를 집중 공략하시고, 중간 무게 에기로 슬로우 액션을 주시면 효과적입니다.

📍 4. 돌산 금천항 방파제

금천항 갑오징어 포인트

특징: 방파제 끝자락은 수심이 깊고 암초가 많아 갑오징어가 머무르기 좋은 환경입니다. 안쪽보다 외항 쪽이 입질이 잦은 편입니다.

공략 팁: 바닥을 긁듯 드래깅 후 가볍게 리프트해 보시길 권합니다. 바닥 지형이 복잡해 채비 손실 위험이 있으니 가벼운 장비 세팅도 병행하면 좋습니다.

📍 5. 백야도 방파제 / 다리 주변

백야도 갑오징어 포인트

특징: 여수권 대표 포인트로, 다리 구조물 주위에 잔잔한 와류가 생깁니다. 외항은 깊은 수심, 내항은 중간 수심이 섞여 다양한 패턴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공략 팁: 썰물 시 물살이 약해질 때 집중 공략하시면 입질이 자주 들어옵니다. 특히 다리 기둥 주변에서 리프트&폴링 액션이 효과적입니다.

📍 6. 화양면 권역 (조발도 · 둔병도 · 적금도)

화양면 갑오징어 포인트

특징: 조용한 도서 지역으로, 방파제와 갯바위가 함께 어우러져 있습니다. 특히 홈통과 수로 주변이 갑오징어 주요 은신처입니다.

공략 팁: 바람이 강한 날은 내항을, 날씨가 좋은 날은 외항을 공략해 보시길 권합니다. 여러 포인트를 순회하시면서 입질이 오는 구간을 찾아내는 것이 좋습니다.

📍 7. 화태도 방파제 / 갯바위

화태도 갑오징어 포인트

특징: 돌산과 가까운 섬으로, 방파제와 갯바위가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습니다. 얕은 수심부터 깊은 홈통까지 변화가 많아 갑오징어 탐색에 적합합니다.

공략 팁: 등대 주변과 갯바위 돌출부를 집중 공략하시길 권해드립니다. 특히 새벽녘에 입질 확률이 높으며, 다양한 수심층을 탐색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마무리 및 조언

이상으로 여수권 갑오징어 대표 포인트 7곳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공통적으로 모서리, 홈통, 구조물이 있는 지형에서 입질이 활발하며, 슬로우 액션 + 드래깅 + 스테이 패턴을 적절히 혼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초보자분들께서는 반드시 안전 장비를 착용하시고, 주변 환경을 잘 살피면서 즐겁고 안전한 낚시를 하시길 권해드립니다.

 

반응형